시뮬레이션 레이싱에 입문하는 것은 흥미진진한 여정이지만, 마치 완전히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. 수많은 약어와 레이싱 전문 용어 사이에서 막 시작하는 단계라면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. 그리드에 막 선 초보자든, 이미 몇 바퀴를 돌았든, 이 용어집은 여러분이 전문 용어를 구사하고 레이싱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.
시뮬레이션 레이싱을 빠르게 익히기 위한 꼭 알아야 할 20가지 용어:
1. 시뮬레이션 레이싱 - "시뮬레이션 레이싱"의 줄임말로, 소프트웨어와 종종 레이싱 휠 및 페달을 사용해 현실감 있는 가상 모터스포츠를 즐기는 형태입니다.
2. 시뮬레이션 장비 구성 - 물리적 장비: 휠, 페달, 시트, 모니터 등. 저가형 구성부터 풀 모션 리그까지 다양합니다.
3. 포스 피드백 - 핸들에 내장된 시스템으로 도로 감촉을 시뮬레이션하여 차량의 접지력, 요철, 무게 이동을 "느끼게" 해줍니다.
4. 추월 – 음, 추월이란 트랙에서 누군가를 앞지르는 것을 말합니다.
5. 클리프(The Cliff) – 타이어가 최적의 그립 수준을 넘어 마모된 후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.
6. 레이싱 라인 - 트랙을 가장 빠르게 주행하는 경로. 속도를 극대화하고 불필요한 조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이다.
7. 트레일 브레이킹 - 코너 진입 시에도 브레이크를 계속 밟아 차량의 회전을 돕는 기술.
8. 핫 랩 - 가능한 한 빠른 기록을위해 전력을 다하는 랩—방해 요소 없이, 실수 없이.
9. 피트 스톱 - 새 타이어 교체, 연료 보충 또는 수리를 위해 차를 세울 때.
10. ABS -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. 바퀴 잠김을 방지하며, 특히 초보 운전자에게 유용합니다.
11. TC (트랙션 컨트롤) - 가속 시 타이어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합니다. GT 차량 및 현대식 차량에 흔히 적용됩니다.
12. BOP(성능 균형) - 공정한 경주를 위해 출력, 무게 또는 연료를 조정하여 서로 다른 차량의 성능을 균등하게 맞춥니다. 주로 GT 경주에서 사용되며, 다양한 종류의 차량 간 성능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13. 브레이크 페이드 - 장거리 레이스 중 브레이크 과열로 인한 제동력 저하.
14. 스포터 - 인공지능 또는 실제 사람이 교통 상황 인식(예: "왼쪽 차량", "오른쪽 안전")이나 트랙상의 위험 요소 또는 잔해물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.
15. 대시 앱 / HUD - 속도, 기어, 랩 타임 등을 화면에 표시합니다. 더 많은 정보를 위해 외부 앱이나 태블릿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16. 델타 타임 - 현재 랩과 최고 랩 사이의 시간 차이를 표시합니다. 페이스를 유지하고 집중력을 높이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.
17. 콕핏 뷰 - 실제 운전자가 좌석에서 보는 시야를 재현하는 차량 내 카메라 앵글.
18. 타이어 열화 - "타이어 열화(degradation)"의 약어.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이어는 마모되어 접지력과 성능이 저하됩니다.
19. 급유 후 즉시 출발 - 급유 후 즉시 출발은 완주하기 위해 완전히 급유하지 않고 경주 후반에 빠르게 급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20. 푸시 투 패스 - 푸시 투 패스는 시뮬레이션 레이싱에서 추월이나 방어를 돕기 위한 제한된 사용의 파워 부스트입니다.
전문 용어를 익히면 레이스 현장과 시뮬레이션 레이싱 커뮤니티 모두에서 자신감과 유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. 이 용어집을 저장해 두면 금방 프로처럼 말할 수 있게 될 거예요. 트랙에서 만나요!
기사의 제품